부산시에서 상업의 활성화를 위해 새롭게 만들어낸 지역화폐 '동백전'
TV, 길거리 여기저기에서 활발히 홍보했던 정책이라 사용하지는 않아도
들어본 적은 있을 동백전.
이 동백전이 자리를 잡는데 가장 큰 역할을 했던 것이 '캐시백 혜택'이라고 볼 수 있다.
여러 혜택이 있었겠지만 사용 금액의 10%를 바로 적립해주는 혜택이야말로 동백전을 사용하게 만드는 큰 이유다.
동백전의 캐시백은 월말이나 월초에 합산해서 들어오는 게 아닌
결제 즉시 10%를 돌려주고, 이를 어플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.
캐시백은 시간이 걸리는 게 아니라 당장 눈에 보이는 혜택이기 때문에
대형마트나 프랜차이즈를 제외하고는
어차피 현금을 사용할 거라면, 동백전을 사용하게 된다.
물론 소득공제도 가능!
(+ 프랜차이즈도 가맹점마다 차이가 있는지,
분명 부산은행 창구 직원은 '프랜차이즈에서는 캐시백이 불가하다.'라고 했으나
동네에 있는 프랜차이즈 빵집에서 동백전을 사용하고 캐시백 혜택을 받았다.)
동네 마트에서 과자 몇개만 담아도 쉽게 만원이 넘는지라
10% 캐시백이면 과자 한봉지를 서비스로 받는 느낌이다.
이렇게 어플에 들어가면 내가 보유한(=내가 충전한) 금액과
동백전을 사용하고 캐시백 받은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.
보통 프랜차이즈에서 몇 만 원 치를 구매해도 포인트는 몇 원이 쌓이던걸 보다가
동백전을 보니 캐시백 금액이 정말 쑥쑥 오르는 느낌이다.
동백전을 사용할 땐 보유잔액과 캐시백이 합쳐진
총 동백전 가격을 보고 사용하면 된다.
캐시백 덕분에 사용 가능한 액수가 많이 커져있다.
물론 내가 다 써서 캐시백 받았고, 금액이 커졌지만
어차피 사용할 돈이라면 캐시백 혜택을 마다할 이유가 없으니 가맹점을 잘 확인하고 사용하면 된다.
이 캐시백 혜택은 본래 올해 초까지 진행되고 끝날 이벤트였는데
코로나 19로 인해 경제활동이 저하되는 현상을 보이자
경제활성화를 위해 기간을 4월 말까지로 늘렸었다.
그리고 5월부터는 그동안 진행되던 10% 캐시백 이벤트가 종료되고
캐시백율이 6%로 축소된다.
그리고 동백전의 충전한도도 월 50만 원으로 축소된다.
본래 월 100만원까지 충전하고 10%의 캐시백이 가능했지만,
5월부터는 월 50만원까지 충전하고 6%가 캐시백 된다.
10%에서 6%로 캐시백이 줄어든 것은 아쉽지만
그래도 특별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기존의 계좌와 연결된 동백전 카드로 결제하는 것만으로
6%가 다시 돌아오는게 어디인가.
캐시백은 월 한도인 50만원을 기준으로 6%가 적용되기 때문에
동백전에 돈이 50만 원 이상 충전되어 있어서 그 달에 50만 원 이상 결제했다고 하더라도
월 한도에 맞춰 한 달에 최대 30000원까지 캐시백 된다.
부산시에서 측정한 예산이 소진되면 캐시백 지급도 중단되므로
이를 염두에 두고 사용해야 한다.
어차피 소비할 거라면 동백전을 사용하고 캐시백도 받고:)
'매일매일 > 메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직지원금] 청년구직지원금 마지막 보고서 설문조사 (0) | 2020.05.21 |
---|---|
긴급재난지원금] 롯데카드로 정부 긴급 재난 지원금 신청하기 (0) | 2020.05.15 |
구직지원금] 청년구직지원금 보고서 증빙자료 종류와 영수증 첨부 방법 (0) | 2020.04.19 |
펭수] gs25 펭수 이벤트 펭수머그컵 수령 방법과 당첨 후기 (0) | 2020.04.09 |
워크넷] 워크넷으로 직업 심리 검사하는 방법 (0) | 2020.03.19 |